이 책의 일부분을 처음 읽게된 것은 고등학교 때 인것으로 기억한다. 수능의 시대를 살아야
했던 나에게는 의무적인(?) 책읽기가 강조되었다. 천천히 자세히 읽기 보다는, 누구 누구가
꼭 읽어야할 소설이나, 꼭 읽어야 할 사회과학의 명저.. 이런 식으로 꼭 읽기를 권하는 책들로
넘쳐났던것 같다.
언어영역 문제집의 지문을 통해서 처음 접했던 이 책의 일부분은 많은 의문을 갖게 했던것
같다. 하지만 그 때는 그 수수께끼들에 대해서 편하게 알아갈 마음의 여유가 부족했다.
지금에서야 시간이 아주 오랜 지금 다시 이 책을 찾게된 것도 그 때의 수수께끼가 시원하게
풀리지 않은 탓이리라.
이 책에서 마빈헤리스가 설명하는 수수께끼를 설명하는 기초에는 '문화유물론'이 자리하고
있다. 한 지역의 문화적 전통에 변화를 일으키는 주요한 힘은, 인간이 생태계 안에서 생존함에
따라 그에게 절대적으로 주어지는 생물학적인 강제이며 특히 고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는
생물학적 강제와 인구증가를 조절해야 한다는 생물학적 강제가 무엇보다 중요한 힘이라는
것이다.
여기에 '최적 먹이찾기 이론'을 통해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먹이 찾기의 최적화 이론이라고 자신이 스스로 고쳐 부른 이 이론은 사냥꾼이나 채집꾼이
그들이 먹이를 찾는데 들이는 시간에 비해 최대한의 칼로리를 얻을 수 있는 먹이만을 쫓거나
수확할 것이라는 것이다.
먹이를 찾는 사람은 먹이를 찾는 행동의 전체 효율이 증가될 때에만 새로운 품목을 더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기초로 그들이 사는곳에 풍부한 곤충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 같은것을 먹지
않는 이유를 설명한다.
때문에 특정한 먹이가 식탁에 오르느냐 하는것은 그 음식이 귀한가 하는 것이 아니라
식량생산의 전체적인 효율에 대한 기여도 때문인것이다. 이것으로 곤충을 먹는 사람들이나
개를 먹는 사람들에 대한 설명을 덧붙인다.
그가 연구한 바는 이제까지의 역사라면 우리가 사는 지금의 먹거리는 어떠한가? 그는
지금의 우리가 점점 더 팔기 좋은 것이 먹기 좋은 것이 되어가고 있다고 말한다.
또, 먹을 것이 너무 없어서가 아니라 너무 많아서 해로운 식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책의 마지막에서 그는 더 나은 것을 먹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의 식생활이 변화하는 실제적인
원인과 결과를 알아야 하며, 영양분으로서의 음식에 관해 더 많이 알야아 한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윤으로서의 음식에 대해 더 많이 알아야 하고 그 때서야 사고로서의 음식에 대해서
더 잘 알 수 있을 것임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