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Buzz 가 나온 다음 정말 버즈가 되었네요 : )
지금 쓰는 글은 기술적인 이해가 아주 부족한 상태에서 쓰는 글이라 잘못된 설명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서비스를 내어 놓으면서 이제는 거의 동시에 API를 함께 세트로 출시하는것이 유행인것도 같고
누구말처럼 이메일 주소 물어보듯이 사이트에는 API 어디있어요 라고 물어보는 정도가 된 것 같습니다.

http://code.google.com/intl/ko/apis/buzz/

- 요즘에 나오는 서비스나 소셜네트워크에서 사용자들의 활동기록을 보여주는 형태로 이곳저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S-V-O 형태로 정의를 하는데 예를 들어, S는 주어를 뜻서 사용자를 나타내고, V는 동사를 뜻해서
사용자의 행동을 설명해 줍니다. O는 목적어로 대상을 설명해 줍니다. 영어와 한글 어순이 달라서
조금 어색하지만 한글을 기준으로 설명을 한다면

이장이 사진을 (플리커)에 올렸습니다.  이장=S,올리다=V,사진=O  이렇게 되고 영어 문형을 기준으로
는  'Ejang posted a Photo on Flickr' 로 표현이 됩니다.  
For the purpose of this specification, an activity is a description of an action that was performed (the verb) at some instant in time by some actor (the actor, as described in Section 4.7 ), with some social object (the object). An activity feed is a feed of such activities.

이런 형식으로 사용자의 모든 행동들을 정의 할 수 있고, 이렇게 규정된 내용들을 가지고 다른 사이트나
서비스와 정보를 주고 받는데 활용을 할 수 있습니다.

책을 서비스를 보면 이장이 ooo책을 구입했습니다. 이장이 ooo 책을 책장에 담았습니다. 등 기본적인
소셜 네트워크에 행동에서 부터 도서,이벤트,게임 등 정의하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정의를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쉬운 예로는 페이스북 첫 화면에 보이는 FEED들을 보시면 사용자와 사용자들이 한 행동에 걸려
있는 링크들을 보시면 이해가 빠를것 같습니다.

기존에 RSS를 가지고도 Activity Streams 형태로 변환해 주는 서비스도 있습니다.
http://feedproxy.cliqset.com/

Atom/RSS

많은 분들이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해서 통과^^
저는 아직 Atom이랑 RSS랑 어떤 부분이 다른지 구분을 잘 못하고 있어서 좀 배워야 겠습니다.

MediaRSS

RSS에 확장된 형태로 미디어 (오디어,비디오,이미지)들을 RSS안에 담아두는데 쓰인다고 합니다.
팟캐스팅을 하는 블로그의 경우는 MediaRSS 형태로 지원을 하면 리더기에서 팟캐스팅 플레이어가
생성이 되어서 컨텐츠를 알리는데 조금 더 수월한 부분이 있습니다.
Media RSS (MRSS) is an RSS extension used for syndicating multimedia files (audio, video, image) in RSS feeds. It was designed in 2004 by Yahoo! and the Media RSS community, and adds several enhancements to RSS enclosures. One example of enhancements is specification of thumbnails for each media enclosure.

PubSubHubbub

Realtime web 를 설명하는 곳에서 빠지지 본 용어인것 같은데 펍섭헙헙.. 좀 읽기가 거시기 합니다.

글을 쓰거나 구독할 때 실시간으로 알림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인데, 보통에 경우 블로그 글에
글이 발행이 된 다음 RSS를 통해서 제2의 사이트에 글이 올라가는데 시간이 소요가 됩니다.
실시간에 세계에서는 잃어버리는 시간이 생기게 되는데 이 시간을 줄여서 바로 바로 정보를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A simple, open, server-to-server web-hook-based pubsub (publish/subscribe) protocol as an extension to Atom and RSS.

웹페지이가 링크로 연결된것 처럼 사람들도 연결이 되어 있는데, 공개된 정보를 기준으로 해서
사람들간에 연결 정보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 도와주는데, 서로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간에 연결도 공통된 약속을 통해서 다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With the Social Graph API, developers can now utilize public connections their users have already created in other web services


OAuth

인증 관련된 오픈 프로토콜인데, 보통 트위터로 다른 사이트 가입할 때 트위터 화면에서 허락해
주는 화면을 보셨을것 같아요. 바로 거기에 이용이 되는 기술이랍니다. 사용자에 허락하에
서비스들 사이에서 인증관련된 일을 처리하고, 사용자의 이용허락이 있을 당시에만 허용을 하게
되기 때문에 기존에 사이트 연동이나 연결을 할 때 필요했던 개인정보들을 다른 사이트에 알려주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습니다.
An open protocol to allow secure API authorization in a simple and standard method from desktop and web applications
WebFinger

기술적인 부분은 잘 모르겠고, 제가 처음에 접한것은 오픈아이디의 사용성 문제 때문에 그 대안으로
이메일 주소를 오픈아이디나 개인의 아이덴티티로 사용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인것 같습니다.

즉 구글 지메일 주소로 사이트에 가입하고, 가입할 때 이름이나 프로필 사진, 친구정보들 혹은 기존에
가입한 사이트들에 정보를 중복해서 입력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쉽게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알릴 수 있는 기술인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서비스들을 이용하다보면 댓글을 다는 경우가 많은데, 그 댓들이 여러곳에 흩어져 있고
또 다시 댓글에 댓글을 확인하는 번거로움등이 있습니다. 트위터에 쓴 글이 버즈에도 올라가고
페이스북에도 연동이 되어 올라가는데 같은 글에 댓글이 여러곳에 달리게 되어 확인을 하려면
그 사이트를 다 방문해야 하는셈입니다. 그런에 이 연어(?)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여러곳에 달린
댓글들을 원본글에도 함께 모아주는 것입니다.

As updates and content flow in real time around the Web, conversations around the content are becoming increasingly fragmented into individual silos.  Salmon aims to define a standard protocol for comments and annotations to swim upstream to original update sources -- and spawn more commentary in a virtuous cycle.  It's open, decentralized, abuse resistant, and user centric.

글에 처음에서 부터 말씀드린것 처럼, 설명이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으니 그냥 지나가지 마시고
꼭 알려주세요. : )

Posted by 이장
,